맨위로가기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네미로비치단첸코는 러시아 제국 시대에 조지아에서 태어난 극작가, 연출가, 극장인이었다. 그는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나 중퇴 후 극작 활동을 시작하여, 1897년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와 함께 모스크바 예술극장을 공동 창설했다. 네미로비치단첸코는 안톤 체호프와 막심 고리키의 희곡을 무대에 올리고, 배우 앙상블과 분위기를 중시하는 연출 스타일을 확립하여 소련 최고의 극장으로 인정받는 데 기여했다. 그는 소련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았으며, 레닌 훈장과 스탈린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부활》, 《안나 카레니나》, 《세 자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계 조지아인 - 루벤 마물리안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영화 및 연극 감독 루벤 마물리안은 브로드웨이 뮤지컬 연출로 명성을 얻었으며, 영화 감독으로 데뷔하여 혁신적인 연출 기법으로 주목받았으나 할리우드 블랙리스트에 오르며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 아르메니아계 조지아인 - 이루 케차노비
    아르메니아 가수 이루 케차노비는 걸그룹 캔디 멤버로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1에서 우승한 후, 조지아 아이돌 결승 진출, 솔로 데뷔, 주니어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22 공연, 더 보이스 조지아 시즌 5 우승을 거쳐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23에 조지아 대표로 참가했다.
  • 오주르게티 출신 - 발레리 카자이슈빌리
    발레리 카자이슈빌리는 조지아 국적의 축구 선수로, FC 루스타비에서 프로 데뷔하여 울산 HD FC에서 K리그1 우승을 이끌었으며, 조지아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한다.
  • 오주르게티 출신 - 마누차르 크비르크벨리아
    마누차르 크비르크벨리아는 조지아의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선수이자 정치인, 사업가로, 2008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과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우승을 했으며 조지아 레슬링 연맹 회장을 역임하고 총선에 출마하기도 했다.
  • 러시아의 연극 감독 - 키릴 세레브렌니코프
    키릴 세레브렌니코프는 러시아의 연극 및 영화 감독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으나 횡령 혐의로 체포되어 러시아를 떠났다.
  • 러시아의 연극 감독 - 예브게니 바흐탄고프
    예브게니 바흐탄고프는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독창적인 연극 스타일을 발전시킨 러시아의 배우이자 연출가로, 형식과 감정을 결합한 총체적인 연극 예술을 추구했으며, 그가 설립한 바흐탄고프 극장은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 (1937년)
본명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단첸코
출생지셰모크메디, 러시아 제국
사망일1943년 4월 25일
사망지모스크바, 러시아 SFSR, 소비에트 연방
묘지노보데비치 묘지, 모스크바
모교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직업배우
연극 감독
연극 교육자
예술 활동
사조자연주의
상징주의
심리적 사실주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주요 작품모스크바 예술 극장 및 스타니슬랍스키와 네미로비치-단첸코 극장 설립

2. 생애

네미로비치단첸코, 1900년경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네미로비치단첸코는 러시아 귀족 가문 출신으로, 코사크와 아르메니아인 혈통을 지녔다. 그루지야 구리아주 오주르게티 근처 셰모크메디 마을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러시아 제국군 장교였고, 어머니는 티플리스 현 출신 아르메니아인이었다.[1] 트빌리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모스크바 대학교 (물리-수학 및 법학부, 1876–1879)에서 공부했다.[1]

1879년, 극작을 위해 대학교를 중퇴하고 연극 평론가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1881년, 그의 첫 희곡 "개 장미"가 말리 극장에서 상연되었다. 이반 모스크빈, 올가 크니페르, 브세볼로트 메이예르홀트의 스승이었다.[2]

1897년 스타니슬랍스키와 함께 모스크바 예술 극장을 공동 창설했다. 1919년에는 모스크바 예술 극장의 음악 극장을 설립했으며, 1926년 네미로비치-단첸코 음악 극장으로 개편되었다.[2] 1943년, 모스크바 예술 극장 학교를 설립했으며, 이 학교는 현재까지 존재한다.[3]

1943년 4월 25일 모스크바에서 84세의 나이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네미로비치단첸코는 러시아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코사크와 아르메니아인 혈통을 지녔다. 그루지야 구리아주 오주르게티 근처 셰모크메디 마을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러시아 제국군 장교였고, 어머니는 티플리스 현 출신 아르메니아인이었다.[1] 트빌리시 김나지움을 1876년에 은메달을 받고 졸업하고, 모스크바 대학교 물리·수학부에 입학한 후 법학부로 전과했으나, 1879년에 중퇴했다.[1]

2. 2. 연극 경력 초기

1877년부터 잡지 《부딜리니크》(Будильник, 시계라는 뜻), 《아르티스트》, 《스트렐코자》(Стрекоза, 잠자리라는 뜻) 등에 극평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1881년 첫 희곡 《들장미》(Шиповник)를 썼고, 이듬해 미하일로프스키 극장에서 상연되었다. 같은 해 처녀 소설 《우편국에서》를 발표했다.

1891년부터 1901년까지 모스크바 음악 애호 협회 부속 학교에서 연기를 지도했다. 1894년, 네미로비치단첸코의 《금전》 공연 때, 러시아 연극 사상 최초로 의상과 함께하는 무대 리허설을 실시했다[5]. 1896년 《인생의 가치》(마리 극장에서 정기적으로 상연)로 그리보예도프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체호프의 갈매기가 상을 받아야 한다고 반대했다.

2. 3. 모스크바 예술극장 설립 및 활동

1897년 스타니슬랍스키와 함께 모스크바 예술 극장을 공동 창설했다. 두 사람의 관계는 "문학적 거부권은 네미로비치단첸코에게, 예술적 거부권은 스타니슬랍스키에게 속한다"(스타니슬라프스키 자서전)는 것이었다.[6] 고리키에게 조언하여 『인생의 밑바닥에서』의 제목을 『밑바닥 На дне』 두 단어로 줄였다.[7] 1936년 저서 『과거로부터』(번역서 제목 『모스크바 예술 극장의 회상』)를 출판했다.[6]

3. 유산 및 영향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는 자연주의적이고 진실된 표현으로 체호프고리키의 희곡을 모스크바 예술 극장에서 성공적으로 공연했다. 그의 극장은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의 극화도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4] 스타니슬라브스키가 예술 극장의 영혼이라면, 네미로비치는 그 심장이었다고 한다.

스타니슬라브스키와 네미로비치단첸코의 러시아 1998년 기념 우표


네미로비치단첸코는 "배우 앙상블"과 "분위기"를 중시하는 모스크바 예술 극장의 연기 및 연출 스타일을 확립했다. 그의 연출 및 제작 기술 덕분에 모스크바 예술 극장은 당시 소련 최고의 극장으로 인정받았다.[4] 그는 1936년 소련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았으며, 이후 레닌 훈장(1937년 5월 3일)과 스탈린상(1942년, 1943년)을 수상했다.[1]

그의 연출 기법과 이론은 대한민국 연극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쳐 현재까지도 연구되고 있다.

4. 주요 작품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는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부활, 안나 카레니나, 세 자매 등을 연출했다.[1]

분류:러시아의 극작가

분류:러시아의 연출가

4. 1. 희곡


  • Шиповник|들장미ru (1881)
  • Золото|금전ru (1894)
  • Цена жизни|인생의 가치ru (1896)
  • 행복한 사람
  • 꿈속에서

4. 2. 연출

5. 평가

"스타니슬라브스키가 예술 극장의 영혼이라면, 네미로비치는 그 심장이었다."라는 평가가 있다.[4] 네미로비치단첸코는 "배우 앙상블"과 "분위기"로 알려진 모스크바 예술 극장의 연기 및 연출 스타일을 창조했다. 그의 연출 및 제작 기술 덕분에 모스크바 예술 극장은 당시 소련 최고의 극장으로 여겨졌다.[4] 그는 1936년 소련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은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이후 레닌 훈장(1937년 5월 3일)과 스탈린상(1942년, 1943년)을 수상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Немирович-Данченко Владимир Иванович http://bse.sci-lib.c[...] 2024-10-29
[2] 서적 In Hollywood with Nemirovich-Danchenko, 1926–1927: the memoirs of Sergei Bertensso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3] 웹사이트 История Школы-студии MXAT https://mhatschool.r[...] 2024-10-29
[4] 간행물 Станиславский и Немирович-Данченко: История театральных отношений: 1897 – 1908 http://teatr-lib.ru/[...] Moscow: Artist. Rezhisser. Teatr.
[5] 서적 モスクワ藝術座の回想 テアトロ社
[6] 서적 ロシア演劇における私の生活 テアトロ社
[7] 서적 モスクワ藝術座の回想 テアトロ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